브라우저에서 페이지 요청 시
- PC : 페이지 전체를 다시 전송해서 표시해도 문제 없음
- 모바일 기기 (스마트폰 등) : 기존 화면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필요한 내용만 추가해서 화면에 표시
모바일 기기가 유선 기기보다 네트워크 전송량 떨어짐
-> 현재 화면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필요한 데이터만 전송 받아 빠르게 표시하기 위해 사용
- ex) Ajax
- 데이터만 전송하는 기능의 표준화 필요성이 대두 -> REST 방식이 대안으로 사용됨
REST (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)
- URI가 고유한 리소스를 처리하는 공통 방식
- ex) /board/112로 요청할 경우 -> 게시글 112번째 글만 응답 처리
- REST 방식으로 제공되는 API를 REST API(또는 RESTful API)라고 함
- 트위터와 같은 Open API에서 많이 사용됨
- 전송방식을 나타내는 메소드 속성의 값에 따라 리소스에 대한 추가 작업 요청
REST 방식의 데이터 처리
- 스프링 3버전 : @ResponseBody 어노테이션 지원
- 스프링 4버전 : @RestController 어노테이션 이용
'Backend > AJA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ajax 기초 개념 및 사용법 (0) | 2022.03.02 |
---|---|
@RestController 이용한 REST 기능 구현 (0) | 2022.01.12 |
Ajax (Asynchronous JavaScript and XML) (0) | 2022.01.11 |
Synchronous(동기식) / Asynchronous(비동기식) 통신 (0) | 2022.01.11 |